본문 바로가기
음악잡설/번역 - 기타

레온카발로 - 나는 어떻게 "팔리아치"를 쓰게 되었는가 (1902년 11월)

by Chaillyboy 2016. 7. 19.

나는 어떻게 "팔리아치"를 쓰게 되었는가

더 노스 아메리카 리뷰, Vol. 175, No. 552, (1902년 11월호, 652-664쪽)

루제로 레온카발로



나는 1858년 3월 나폴리에서 늦둥이로 태어났는데, 내 부모는 고등사법재판소장 카발리에레 빈센조 레온카발로와 유명 나폴리 화가의 딸인 비르기니 다우리온이었고, 외할아버지의 많은 작품은 현재 나폴리 궁전에 보관되어있다. 나는 나폴리에서 처음 공부했는데, 여덟 살에 콘서바토리에 입학해 열여섯에 수료증을 받았다; 작곡 교수는 세라오와 데 피암체시: 졸업작품으로 나는 칸타타를 썼다. 이후 나는 볼로냐로 가서 위대한 이탈리아 시인, 고르두치 아래서 대학의 문학 공부를 마쳤다; 그리고 나는 스무 살에 문학박사가 되었다. 나는 병역의 의무를 지지 않았는데, 내 형이 징병제였던 당시 군대에 있던 것과 대조된다. 그래서 나는 이집트에서 전문 피아니스트로서 긴 편력을 시작했는데, 당시 이집트에는 외교부의 공보실장이던 삼촌 레온카발로 베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그곳 법정에서 연주했고, 비체로이 타우피크의 형제였던 마무드 함디가 나를 개인 음악가로 고용했다. 나는 영국과의 전쟁으로 이집트에서 몰려났고, 마무드는 아라비 파샤의 편을 들었다. 아라비 파샤는 합리적인 봉급을 제시하며 나를 이집트 군악대장으로 임명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었다. 멋진 약속이 실천된 대신, 나는 아랍 복장으로 이스말리아까지 밤새 달린 덕분에 운 좋게 텔-엘-케비르[각주:1]에서 살아남았다. 거기서 나는 유럽식 옷으로 갈아입고, 한 푼도 없이, 포트사이드에 있는 드 사바리 씨 - 드 레셉스 씨의 대리인 - 의 집에서 공연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 공연으로 오, 육백 프랑을 벌었고, 나는 영국 상선 "프로피셔스" 호에 탈 수 있었다. 훗날 기회가 되어 나는 이 일화를 몇 년 전 니스에서 자애로운 빅토리아 여왕 폐하께 회고하기도 했다. 마르세유에 도착한 뒤, 나는 즉시 기차를 타고 (급행열차나 특급열차는 절대! 아니었다!) 파리로 갔고, 찢어지게 가난했기에, 카페에서 반주하며 경력을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항상 나는 어느 저녁을 기억하는데, 크레유의 와인 도매상과 팔 프랑에 계약하고 왕복 교통비와 식사까지 받기로 했다. 내가 공연-방[각주:2] (!) 으로 안내받았을 때, 나는 피아노는 없고, 작은 하모니움과, 반주 없이 멜로디는 흥얼대도 노래는 부를 줄 모르고 거리에서 일 수에 파는 작은 리플렛만 가지고 있던 딴따라들이 전부라는 걸 알게 되었다; 심지어 그들이 시작하기 전에 "선생님, 한음하고 반음만 더 내려주세요" 라고 말하는 걸 막을 수도 없었다! 내가 그들을 반주한 건 정말 경이로웠던 일로 드러났는데, 다음날 교외에서 카페-공연을 담당하던 모든 기획사가 머리가 잽싸게 돌아갔던 그 작은 이탈리아 인이 어디 있냐고 물어봤다는 것이다. 그들은 내가 반주한 딴따라들에게 추천받았다고 한다. 조금씩 조금씩 내 이름은 엘도라도까지 알려졌고, 그곳의 감독인 레나르씨가 그의 스타들을 위해 몇 곡만 써달라고 부탁하게 되었다. 노래들은 성공했고, 곡당 이십 혹은 삼십 프랑이란 엄청나게 후한 가격으로, 하룻밤에 칠, 팔십 상팀까지 아찔하게 치솟게 될 인세를 무시한 채, 파파 바틀로[각주:3]가 지급했다.


나중에 나는 카페 연주를 그만두고, 내가 쓴 곡을 부르던 그런 딴따라를 학생으로 받기 시작했다. 나를 처음부터 정말 친절하게 대해주던 모렐[각주:4]씨와 마에스트로 마스네와 친분을 쌓는 기쁨을 누리던 때이기도 하다.


나는 파리에서 많은 유형의 사람을 만났고, 그들이 최선을 다해 나를 돕고 더 높은 위치로 밀어준 결과, 마침내 유복하게 살 수 있었다. 그 시절 나는 드 뮈세의 "오월의 밤"에 기초한 교향시를 썼는데, 콜론이 곡을 소개하기로 약속했고, 마침내 연주될 기회도 있었지만, 지금까지 묻혔다. 어느 날 모렐씨와 내 미래 계획을 이야기하고 있었는데, 나는 그에게 "메디시스"라는 막 완성한 시를 읽어줬다; 이 위대한 예술가는 나의 자발성과 시의 수준에 매우 감명받아, 내게 조언하기를, 이탈리아인으로서 그가 "오텔로"의 첫 번째 리허설을 하기로 한 밀라노에 가라고, 리코르디 씨에게 나를 소개하고 추천하기로 약속했다.


이 약속을 믿고, 작은 아파트의 가구를 전당포에 맡긴 뒤 나는 밀라노로 갔는데, 모렐 씨는 그의 약속을 지켜, 나를 리코르디씨에게 데리고 가 추천했고, 결과적으로 그는 내가 낭독한 "메디시스"를 가사로 음악을 써달라 요청한 것이다. 한 달에 200프랑씩 총 2400프랑을 받는 조건으로, 나는 일 년 안에 오페라를 쓰게 된 것이다. 그러나, 아아, 그해 말까지 오페라를 완성했지만, 리코르디 씨는 작품을 출간할 마음이 전혀 없었다! 결국, 나는 헛되게 삼 년을 기다렸고, 그동안 나는 밀라노에서, 내가 절대로 다시 하고 싶지 않았던, 교습을, 우울하게 할 수밖에 없었다!


마스카니가 쓴 "카발레리아"의 성공 이후에, 나는 인내심을 모조리 잃어버리고, 완전히 자포자기 한 채로 입을 닥치고, 최후의 투쟁을 결심했다. 다섯 달 동안 나는 "팔리아치"의 음악과 가사를 썼는데, 리브레토만 읽고 곡을 요청한 손조뇨 씨가 곡을 출판하기로 했고, 그리고 모렐 씨는 작품에 상당히 감명받아  1892년 5월 17일 밀라노에서 열릴 초연에 참여하고 싶다고 강력하게 요청했다. 이 작품의 성공은, 잘 알려졌듯이, "카발레리아"가 그랬던 것처럼 굉장했고, 유명세는 삽시간에 퍼졌다. 작품이 번역되었을 때, 멘데스 씨는, 작품이 그의 "광대의 여인"과 다소 닮은 데가 있다고 보았고, 내 작품의 주제를 그에서 가져왔다고 순진하게 믿고, 심지어 손해배상을 청구하기도 했다. 그는 피가로에 편지를 개재하며 노골적으로 소송을 취하했는데, 그의 작품 이전에도 다른 "광대"들이 있었다는 걸 발견한 직후였다. 사실은 이렇다. 나는 이 작가를 정말 존경하지만, 당시엔 그와 작품에 대해서 전혀 모르고 있었다. 나는 칼라브리아에서 실제 일어났던 사건에서 플롯을 가져왔는데, 사건은 콘센차의 재판관으로 있던 내 아버지에게 제출되었다. 더욱이 증인이 될 수 있는 내 작품의 주인공은 여전히 살아있는데, 감옥에서 석방되고 지금은 칼라브리아의 스프로비에리 남작 부인을 섬기며 살고 있다. 만약 소송이 법정공방으로 이어졌다면, 그는 기꺼이 찾아와 내게 유리한 증거를 제시했을 것이다. 나는 이렇게 되지 않은 것이 아쉬운 데, 우리가 불쌍한 알레산드로(내 카니오의 진짜 이름)를 증거로 확인하며 그가 연루된 범죄와, 질투에 떠는 그의 분노, 고통을 극적으로 확인해야 했기 때문이다!



글이 정말 전형적이네요. 19세기적인 장황함이라 할까요? 넋두리에 가까운 서사를 읽고 있자니, 왜 이걸 읽고 있나 싶기도... 흥미롭기는 합니다. 팔리아치는 표절 시비로 큰 곤혹을 치렀죠. 레온카발로의 변호가 여기 실려 있습니다. 물론 당시에도 그 말을 믿는 사람은 많지 않았습니다. 프랑스에서 오래 있었고, 문학에 조예가 깊던 레온카발로가 그걸 몰랐겠냐는 반응이 다수였죠.


사실 팔리아치의 핵심은 치정 플롯이 아닙니다. 오히려 곡의 매력은 놀랄 만큼 깔끔한 메타구조가 아닐까요? 그래서 저는 표절 문제에는 시큰둥하고... 오히려 해볼 만한 이야기라면 이런 게 있겠죠. 마지막 대사 "La Commedia è finita!"를 누가 읊어야 할까. 토니오가 대사를 읊는 초고와 다르게 1895년에 출간된 악보에는 카니오의 대사로 수정되었죠. 흔히 카니오의 대사로 알고 있지만, 토니오가 극을 끝내는 기록도 의외로 많이 있습니다. 피가 묻은 칼을 쥔 채 토니오가 말하는 연주, 토니오에게 마지막 대사를 맡겨 메타적인 구성을 완성하는 연주 모두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선택의 문제겠지요.


토스카니니가 팔리아치를 초연한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가 오텔로 초연에서 첼로를 연주한 게 유명한 것과는 반대로 말입니다. 바리톤 모렐의 요청이었을까요?


ps. 서지사항을 정확히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원문이 영어로 쓰였을 것 같지는 않은데 말이죠. 우선은 영어 원문 출처를 붙이고 나중에 이탈리아어 원본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www.jstor.org/stable/25119331)


  1. 영국과 이집트 민족주의자 사이의 큰 전투가 있었다. [본문으로]
  2. concert-room [본문으로]
  3. Père Bathlot. 이탈리아인이라서 파파로 번역했습니다. [본문으로]
  4. Victor Maurel. 베르디 <오텔로> 초연에서 이아고를 부른 프랑스의 바리톤 [본문으로]